Tres Dias SOL

1. Tres Dias란? : 명칭의 유래 본문

Tres Dias 운동

1. Tres Dias란? : 명칭의 유래

금구 2016. 6. 3. 23:00





1. Tres Dias란? : 명칭의 유래

- "Tres Dias"는 스페인어로 "3일"이라는 뜻의 말이다.

- 왜 Tres Dias 운동의 창설자들은 "개신교 꾸르실료 운동"을 스페인어로 "3일"이라는 뜻의 "Tres Dias"라고 이름지었을까?


* 트레스 디아스의 창설자인 데이브 맥메니갈에 따르면 개신교 꾸르실료 주말을 준비하기 위한 첫번째 모임이 1972년 6월 7일에 있었는데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은 이  "개신교 꾸르실료운동"의 필요성에 대해 모두 동의를 하였고, 또 이 운동의 이름을 짓고자 토론을 했는데 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고 또 이를 좀처럼 좁힐 수가 없어 그들은 우선 그 명칭을 "그것"이라고 부르기로 했다. 그러다가 그들은 자신들이 시도하는 것이 프랑스 떼제 공동체처럼 에큐메니칼 정신에 입각한 것처럼 보여 임시로 “떼제(Taize) Weekend”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. 그들은 이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떼제의 수도원장에게 편지를 썼으나 그에게 거부의 답장을 받고 다시 상의하여 그 Weekend를 "3일" 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했고, 꾸르실료운동의 기원이 되는 스페인어를 따라서 "Tres Dias" 라는 스페인어 단어들을 선택하기에 이르렀다("트레스 디아스의 기원"의 내용 발췌 요약).


- 이 명칭의 유래를 통해서 트레스디아스 운동은 단순히 개신교 내 다양한 교파에 속한 평신도들 간의 초교파 영성훈련이 아닌 개신교를 뛰어넘어 1054년에 분열된 동서방의 모든 교회들을 아우르는 "에큐메니칼 정신"에 입각하여 시작된 평신도 중심의 영성훈련운동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.


- 따라서 "THE ESSENTIALS OF TRES DIAS" 의

2.0 Tres Dias 운동의 Essentials(The Essentials of the Movement) 을 보면
1. Tres Dias는 그리스도인의 운동이다.   

    - Tres Dias 운동의 궁극적 목표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강화하고 확장시키는 것이다.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을 참가시켜 변화를 시도하고자 Tres Dias 프로그램을 변경시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.  

    - 이러한 Essentials의 목적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영접하여 친밀한 교제를 나누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그리스도인으로 간주해도 좋다.

2. Tres Dias는 초교파적(Ecumenical) 운동이다.   

    - Tres Dias의 모든 기구는 어떤 교파이든 간에 참여를 허용하고, 교파별 특성을 최대한 존중한다.

3. Tres Dias는 평신도 운동이다.  

    - Tres Dias는 평신도가 주도하는 운동이다.   

    - 그러나 성직자의 참여와 지원이 필수적이다.

 

이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!


* 제가 이 부분을 강조하는 것은 이 부분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있어야만

   - 제대로 된 Tres Dias 운동,

   - 제대로 된 Tres Dias 정신,

   - 제대로 된 Tres Dias 토크(위크앤드),

   - 제대로 된 Tres Dias 리유니온그룹(제4일),

   - 제대로 된 Tres Dias 방법


이 삶 속에서 형성되고 실천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.


* Tres Dias의 근원인 꾸르실료는 이런 고민이나 노력이 필요없습니다.

왜냐하면 꾸르실료는 처음부터 그리스도교에 대해 적대적인 세상에서 이 세상을 그리스도적 환경으로 변혁시킬 수 있는 환경으로서의 가톨릭 크리스챤의 추골을 형성하고 세력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. 즉, 로마 가톨릭교회 중심적입니다.  

Tres Dias는 로마 가톨릭의 꾸르실료에서 태동되고 개신교에서 도입, 발전된 평신도운동이나 그 본 취지와 목적은 가톨릭과 개신교를 뛰어넘는 비전에 따라 삶으로 그 실재를 드러내는 운동입니다.